KB5034441 Error (0x80070643) 해결방법

이미지
 KB5034441 Error (0x80070643) 해결방법 KB5034441 Windows update의 오류가 자체적으로 해결되기를 기다렸지만 해결될 기미가 보이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수동으로 RE Partition(복구 파티션)의 크기를 확장하여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그 방법은 굉장히 쉽습니다. 차근차근 따라 해보세요. RE partition 및 Disk 번호 확인 cmd 명령 프롬프트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메뉴를 선택하여 관리자 권한 으로 실행합니다. reagentc /info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Windows RE 위치: harddisk 뒤에 나오는 숫자를 확인합니다. 제 경우는 1번입니다. reagentc /disable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디스크 관리 실행 [Win + X] 단축키, K key 를 입력하여 디스크 관리를 실행합니다. 제 경우, RE Partition이 설치된 위치는 harddisk1번이었습니다. 기본으로 생성된 RE Partition(535 MB) 부분을 선택 - 마우스 오른쪽 클릭 - 삭제하여 파티션을 삭제합니다. 그리고 운영체제가 설치된 파티션을 선택하고 마우스 오른쪽 클릭 - 축소 - 1000을 입력하여 1000MB만큼 용량을 축소합니다. 약 1.5GB의 할당되지 않음으로 나오면 diskpart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RE Partition을 1.5GB로 생성해 주는 작업이 추가로 필요합니다. diskpart , RE Partitioning [Win + r] 단축키를 입력, diskpart 를 다시 입력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합니다. list disk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제 RE Partition은 disk1에 생성해야 합니다. 따라서 select disk 1 을 입력합니다. 이때 disk 1이 Gpt에 *가 있다면 GPT, 없다면 MBR 파티셔닝 방식입니다. [GPT인 경우] create partition primary id=de94bba4-06d1-4d40-a16a-bfd50179d6ac 명...

LibreOffice hwp plugin(hwp2odt plugin)

이미지
 LibreOffice hwp plugin(hwp2odt plugin) 무료 오피스 프로그램인 LibreOffice에 hwp2odt(H2O restart) plugin을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서 소개합니다. 일반 회사에서는 대부분 문서를 MS Office 포맷으로 만들지만 공공기관에서는 hwp 포맷으로 문서를 만들고 있어서 hwp 포맷으로 된 문서를 확인할 때 별도의 프로그램 없이 LibreOffice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Hwp2odt plugin github에서 hwp2odt 또는 H2Orestart로 검색을 하여 해당 Repo.를 찾아갑니다. 리눅스를 사용하는 경우 "Install from APT Repository"에 나오는 명령어를 그대로 터미널에 복사 & 붙여넣기하여 실행하시면 바로 설치됩니다. 터미널에서 명령어 실행 후 LibreOffice를 실행해 보면 H2O restart 0.5.7 plugin이 설치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명령어 대신 H2Orestart.oxt 파일을 다운로드해 LibreOffice - Extensions에 직접 추가해도 됩니다. 만약 hwp2odt plugin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 LibreOffice - 고급 설정 - Java Runtime Environment에 JRE가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해 주세요. (필수) github의 안내에 따라 JRE를 설치해 주세요. hwp2odt plugin을 설치했으니 문서 테스트를 위해 공공기관 홈페이지에 있는 공지사항 또는 보도 자료를 다운로드해서 테스트해보세요. LibreOffice에서 hwp 문서를 확인한 화면입니다. 약간 문서의 서식이 깨진듯한 느낌이지만 문서의 내용은 무리 없이 확인할 수 있으며 편집하여 odt 포맷으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hwp 문서 그대로 확인하거나 편집하고 싶다면 네이버 mybox 또는 한컴 스페이스 계정에 문서를 업로드하여 확인 또는 편집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Taskwarrior - 식단 일지(Food Diary), 체중 기록(Weight Tracker), 커피 섭취량(Coffee Intake log)

이미지
 Taskwarrior - Food Diary, Weight Tracker, Coffee Intake log Task Management 프로그램인 taskwarrior는 task를 관리하기 위해 주로 사용합니다. 프로그램을 살짝 응용하면 식단 일지(Food Diary), 체중 기록(Weight Tracker), 커피 섭취량 기록(Coffee Intake log) 등등 다양한 목적에 맞게 사용할 수 있으며 reports 역시 약간 수정하면 엑셀(excel sheet)로 변환도 가능합니다. (기본적으로 json file로 export 할 수 있음) taskwarrior 설치법(taskwarrior Installation) kali linux에서는 sudo apt-get install taskwarrior 명령어를 사용하여 설치할 수 있습니다. Windows 운영체제를 사용한다면 wsl 기능을 사용하여 kali linux, ubuntu linux 등을 사용할 수 있으니 wsl linux 먼저 설치한 이후 taskwarrior를 설치하시기 바랍니다. taskwarrior의 환경설정 파일은 $HOME/.tashrc 파일입니다. vi ~/.tashrc 명령어를 사용하여 data.location의 path를 적절하게 수정해 주세요. wsl linux를 사용하게 되면 윈도 운영체제에 설치되어 있는 Dropbox에 저장해서 동기화 시킬 수 있습니다. taskwarrior의 저장 파일들이 저장되는 폴더에 있는 data 파일들은 암호화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따라서 민감한 개인정보를 입력할 때는 주의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Cloud 계정의 2단계 인증 역시 활성화시켜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식단일지(Food Diary) 1일 1식(OMAD)를 하면서 식단 일지를 꾸준히 기록했습니다. 직접 기록할 때 날짜/시간 등을 입력하는 것이 점점 귀찮아지더군요. 그래서 taskwarrior에 먹은 음식을 기록해 봤습니다. 체중 기록(Weight Tracker) 기본적인 co...

Hyper-V Default Switch 인터넷 연결 문제 해결(No Internet Solved)

이미지
 Hyper-V Default Switch 인터넷 연결 문제 해결(No Internet Solved) Windows Pro 버전부터 사용할 수 있는 Hyper-V, 그중에서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기본 가상 스위치(Default Switch)를 사용해도 인터넷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개인(Private Switch), 내부(Internal Switch), 외부(External Swithch), 기본(Default Switch) 각각 차이점을 살펴보고 해결 방법도 알려드리겠습니다. 제가 사용하는 Wi-Fi 네트워크 어댑터 설정을 보여드리겠습니다. 저는 DNS만 바꿔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DNS는 구글(8.8.8.8), Cloudflare(1.1.1.1) 등 자신이 좋아하는 DNS로 바꿔도 상관없습니다. Default Switch로 연결된 Kali Linux VM에서 nslookup 명령어를 사용해 봤습니다. dnsleaktest를 해보면 Cloudflare로 나옵니다. Wi-Fi 네트워크에 수동으로 설정해 준 DNS 서버를 통해서 정상적으로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Hyper-V를 활성화시키면 네트워크 연결에 vEthernet(Default Switch)가 생성됩니다. 제 컴퓨터는 Wi-Fi를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위와 같이 총 4개의 네트워크 어댑터가 있습니다. 개인 네트워크 (Private Switch) 가상 스위치 Hyper-V를 처음 실행하면 Default Switch만 (WSL 사용 시 WSL 스위치 추가) 있을 것입니다. 사용하는 VM의 용도에 맞게 개인 네트워크(Private Switch), 내부 네트워크(Internal Switch), 외부 네트워크(External Switch)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 개인 네트워크(Private Switch)은 단순히 컴퓨터에 랜 카드만 하나 달린 상태로 보시면 이해가 쉬울 것 같습니다. 컴퓨터에 랜카드는 있지만 아무런 설정이 안된 상태라 직접 랜카드에 IP, Netma...

Trojan:Win32/Powemet.G!attak 삭제 방법 (How to remove Trojan:Win32/Powemet.G!attak)

이미지
 Trojan:Win32/Powement.G!attak 삭제 방법 (How to remove virus) 여동생 매장에 있는 컴퓨터를 살펴보다 이상한 흔적이 있어서 점검해 보니 Trojan:Win32/Powemet.G!attak 바이러스를 확인했습니다.  웬만하면 백신으로 치료가 될 텐데 시간이 지나면 다시 살아나는 fileless 바이러스 같았습니다. 컴퓨터 포맷 없이 바이러스를 제거할 수 있는 방법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안전모드 부팅 및 Malware Zero 점검 안전 모드로 부팅을 하게 되면 안전 모드에서는 윈도 디펜더가 작동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Malware Zero , Windows Safety Scanner , Stinger , 등의 안티 바이러스 프로그램 최신 버전을 먼저 다운로드해둔 상태에서 안전 모드로 부팅하는 것이 좋습니다. 안전 모드로 부팅하기 위해서는 Win + r, msconfig 입력하여 [부팅]에서 [안전 부팅]을 선택하시고 재부팅하시면 됩니다. Malware Zero 프로그램의 압축파일을 풀고, start.bat 파일을 선택. 마우스 오른쪽 클릭 -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을 선택합니다. 안내에 따라 시스템을 점검합니다. 시스템의 사양에 따라 점검에 1시간 이상 소요될 수 있습니다. 추가로 Microsoft Safety Scanner로 다시 점검을 하셔도 좋습니다. 바이러스가 완전히 삭제된 이후, C:\Quarantine_MZ 폴더를 삭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삭제한 바이러스는 검역소에 보관하기 때문에 바이러스 점검 시 이 폴더에 있는 파일이 다시 탐지되기 때문입니다. 컴퓨터 IP 확인 및 Private IP로 변경 [Win + r]을 입력하여 cmd, 명령 터미널을 실행하여 ipconfig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ipconfig 명령어를 실행해서 IPv4 주소에 나오는 IP 주소와 "내 ip"로 조회해서 확인할 수 있는 나의 공인 IP(public IP)가 동일하게 나오는 경우, 컴퓨터의 랜 연결을 조금 바꿔줘야...